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미국주식] 기업분석 - Fiserv, 미국 1위 은행 계정계 시스템 솔루션

Fiserv(FISV) - 미국 1위 은행 계정계 시스템 솔루션Fiserv는 미국 1위 은행계정계 (Core Banking) 시스템 솔루션사업자로, 카드업무 뿐 아니라 은행계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금전거래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back-end-processing서비스를 제공한다. 순수한 결제처리업체는 아니지만, 카드결제의 밸류체인 상 발급사를 대행하여 결제처리를 담당하는 발급처리사 (Issuer Processor)로 기능한다. 또한, Fiserv는 미국 핵심 뱅킹시장의 3분의 1을 점유하고 있고, 12,000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있다. Fiserv의 First Data 인수Fiserve가 First Data를 약 220억 달러(25조원)에 인수함에 따라 양사간 상호보완하여 전략적 성장할 것으로 예상. 이..

경제 2020. 2. 3. 07:00
[미국주식] 기업분석 - 비자(Visa), 디지털 결제 IT 1위

Visa (V)글로벌 1위 결제네트워크 사업자로, 글로벌 시장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수익원은 카드 발급사와 매입사 사이에서 거래처리 및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이며, 결제량 및 결제금액 모두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구조이다. 카드 결제 시스템의 생태계 견고한 수익구조, 고정된 네트워크수수료 기존의 카드사용에서 모바일 결제 시대가 되면서 삼성페이, 애플페이가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면 기존의 시장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삼성페이와 같은 신규 결제방식도 대부분 기존의 직불/신용카드 결제망에서 이루어지고, 네트워크 수수료율은 결제수단과 무관하기 때문에, 간편결제 및 온라인상거래가 증가하면 Visa또한 성장하게 된다. 비전: 현금없는 사회로 진화위해서는 디지털 결제시스템이 필수 결론: 비자는 네트워크 회사로 결..

경제 2020. 2. 2. 16:24
[미국주식] 내가 미국주식하는 이유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장과 안정성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국내주식을 할 이유가 없다. 입사하자마자 시작한 것이 국내주식이다. 이유는 시드머니가 없는 청년에게 국내주식이 만만하게 느껴져 시작했다. 짧게 말해 좋아서 한게 아닌 선택권이 없다보니 국내주식을 시작했고, 만 3년을 하면서 쏟아부은 시간에 비해 얻은 수익은 제자리 걸음인 듯하다. 미국에 살았으면 미국주식해서 좋았을텐데 잠깐 생각만 해봤지만 (이때는 국내에서 하면 수수료가 너무 비싸기 떄문에 못한다고 생각함) 세상이 좋아진 턱에, 우연히 유튜브로 미국주식하는 사람들을 보고, 수수료를 떠나 미국주식의 장점에 매료되어 바로 시작하였다. 막상해보니 이제는 해외주식도 수수료가 크지않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내 성향에 딱 떨어지는데, 진작에 했어야했..

경제 2020. 1. 30. 20:15
[미국주식] 좋은 기업(우량, 성장기업) 찾기

좋은 기업들이 많아 고르기가 힘든 미국시장에서 좋은 종목을 찾기 위한 나만의 룰을 정하고자 기록함좋은 기업이란, 우량하고 미래 성장 가능한 회사로 보고 기존의 전통사업은 지양하려 함. 1. 미래성장가능성2. Cashflow가 탄탄한가3. 경쟁사 중에 우위를 점하는가 좋은 기업 찾기1. Check overview- 영업이익을 내는 메인사업이 무엇인지 확인 (기업 Presentation) 2. 사업의 총 시장 규모와 해당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 3. 미래의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을 가정하고 주가를 예상 4. 실제의 실적과 비교하여 보유 및 손절을 이행

경제 2020. 1. 30. 19:49
[미국주식] 주식용어정리

[미국주식] 주식용어정리 재무제표를 확인할 때, 영어로 된 축약어가 생소하여 찾아보던 중, 이해하기 쉽게 잘 정리된 유튜브 클립이 있어 공유하고, 블로그에 정리. 참고) happycooking120180님의 유튜브: https://youtu.be/5CE0IwypIBU PE: price to earnings 주가 배수 = 시가총액/순이익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뉜 값. 즉, 주가가 이익의 몇 배수인지 나타냄. 하지만, 성장률을 간과했기 때문에 신뢰가 낮다.PEG: PE/growth, PE와 성장률을 고려한 값으로, PE가 상대적 높더라도 성장률이 높으면 좋은 기업이 된다.ex, A) PE = 100, 성장률=20 와 B) PE=10, 성장률=1 있으면, A기업이 PEG가 5, B기업은 PEG가 10으로 A..

경제 2020. 1. 28. 22:15
이전 1 ··· 43 44 45 46 47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