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클라우드 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전에 클라우드 관련 대표 기업들의 주가를 먼저 확인해보자.

클라우드주식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10년 주가 (자료: koyfin)

클라우드 사업 모델을 보유한 이후 주가는 꾸준히 우상향 중이다.

  • 아마존(AMZN): 클라우드 서비스(AWS)는 2006년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MSFT): 클라우드 서비스(Azure)는 2010년 발표

 

 

다음은 한때 세계에 이름을 날리던 기업들의 주가는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012
포드, 제너럴일렉트릭, 엑손모빌 10년 주가 (자료: koyfin)

  • 포드(F): 제조업의 혁명, 세계 최초 자동차를 대량 생산한 포드.
  • 제너럴일렉트릭(GE):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고 항상 기업 순위 10위 안에 들던 기업이지만, 최근 다우지수 30에도 퇴출되는 굴욕을 맞이했다.
  • 엑손모빌(XOM): 세계 1등 정유기업이며, 몇 년 전까지 세계 시가총액 1위를 다투던 엑손모빌.

10년 동안 보유하더라도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기회비용이 더 크며, 손실을 만회하기 힘들다. 이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작정 장기투자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 10년간 부진한 기업들의 공통점은 2차산업, 제조혁명의 패러다임에 수혜를 받아 성장했던 기업으로 지금은 패러다임이 전환되었기 때문에 주가가 부진한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기업, 산업에 투자해야 할까?

주식은 미래의 현금흐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을 사야 한다. 즉,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같은 글로벌 메가 트렌드에 해당되는 산업에 투자해야 우상향을 기대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클라우드 산업에 대해 알아보자.

클라우드(Cloud)는 영어로 구름을 뜻하는데, 구름 산업이 도대체 무엇이길래 주가가 치솟는 것일까?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술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하늘에 떠있는 구름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언제 어디서든 이용한다는 개념이다.

클라우드 기술의 장점을 결론부터 말하면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큰 비용을 절감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이전에는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서 시설 관리 비용, 전력 소모 등 데이터 관리에 큰돈을 지출해야만 했다.

데이터센터: 서버·스토리지 등의 정보통신기술 장비를 집적시키고 통합·관리 가능한 솔루션, 시설, 인프라를 구축해 24시간 365일 무중단으로 운영하는 시설을 뜻한다.

클라우드 등장 이후로 기업은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 없이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비용을 지불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필요한 만큼만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값비싼 IT 자원, 관리인력, 데이터센터 부지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이 사라진 것이다.

비유를 들어보자면, 과거 2차 산업 제조혁명이 일어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될 때 많은 전기가 필요했고, 기업마다 발전소를 지어 운영해 전기를 충당했다. 이에 발전소 시설, 인력, 부지,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던 중, 한국전력공사와 같은 전기 인프라 사업자가 기업에 전기를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자 제조업체들은 따로 발전소를 구축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리고 전기 인프라 사업자는 큰돈을 긁어모았다.

클라우드 기술 개념
클라우드 기술 개념 (출처: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현재 디지털 전환, AI, 빅데이터 등 대두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전환 기로에 있으며, 이에 클라우드 IT 인프라가 전 영역에 혁신의 기반이 된다.

자율주행 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연산 처리해서 가능할 기술인데, 5G나 클라우드 같은 IT 인프라가 더욱 구축되어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클라우드 주식이 우상향 하는 이유

클라우드 사업자는 구독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로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월별 및 사용량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입을 창출한다. 아마존의 고객 중 하나로 우리가 잘 아는 넷플릭스가 있다. 넷플릭스는 비디오 대여업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월 구독 모델로 전환해 대성공적으로 사업모델을 전환했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었기 때문이고, 넷플릭스는 따로 데이터센터 구축하지 않고, 아마존 클라우드를 이용하면서 월마다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이렇게 아마존 같은 클라우드 사업자는 변동성 없이 꾸준히 이익이 발생하고, 고객이 늘어나면 수익이 더 커지는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 산업 전망

미 시장조사 업체 Adroit는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가 올해 3171억 달러(약 350.4조 원)에서 2025년 6962억 달러(약 769.3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클라우드 시장 규모 (Adroit Market Research)

과거 PC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정보화 혁명이 일어났고, 2010년~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인터넷 사용으로 데이터 사용이 크게 늘어났다. 이제 5G와 자율주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기하급수적인 데이터를 쏟아낼 것이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그전에 구축되어야 하기 때문에 아직도 투자 적기로 생각되며 클라우드 산업은 아직도 성장 중이라고 판단된다. 앞으로 디지털 전환을 위해 클라우드는 어디까지 성장할지 기대된다.

참고 자료 및 출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KDB 미래전략연구소, 2019.02.01)


Disclaimer 이 글은 개인 투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며 추천이 아니므로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서 종목의 선택 및 투자 시기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어떠한 이유에서도 독자들의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테크서퍼

 

배당주 투자로만 경제적 자유는 불가능 | 주식 투자 전략 (Feat. 가치주 vs 성장주)

루시드, 스타벅스, 삼성전자도 이용하는 IT모니터링 최강자, 데이터독(Datadog) 전망 및 분석

컨플루언트(Confluent) 전망 및 분석, 빅데이터 시대 필수 데이터 처리| 기업분석 (feat. Kafka)

클라우드란-기술개념-산업전망-클라우드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