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급진적인 친환경 정책을 펼치며 원유, 천연가스 같은 전통 에너지가 하락하는 가 싶더니 공급망 병목과 유동성에 의한 인플레이션 우려와 뜬금 없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정학 위기로 서방이 러시아에 대해 에너지 제재 등이 겹치면서 전통에너지 가격은 폭등 중에 있다. 에너지 가격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고 결국 물가 상승은 소비자에게 전담되기에 온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에너지 시장 전망은 우리에게 미래 시장을 예측하고, 대응하는데 필요한 식견을 제공한다.  

 

 

미국의 에너지 정보청(EIA)는 매년 미국 에너지 시장에 대한 장기 전망을 발표하는데 에너지 인사이트를 얻기 좋은 글이 있어 정리 및 포스팅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

출처: 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을 말하다 (2022.3.10, KOTRA 해외뉴스)

 

요약

  1. 2050년에도 여전히 오일·가스가 주요 에너지 원이나 재생에너지가 빠르게 성장할 것
  2. 풍력과 태양광에 대한 인센티브 및 비용 하락으로 인한 경쟁력 상승
  3. 천연가스 수출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

 

2050년에도 미국 최대 에너지 소비원은 오일·가스

  •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2050년까지 오일 및 가스가 여전히 미국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
  • 현재 소비되는 에너지 점유율은 오일 37%, 천연가스 32%, 재생에너지 8%이나, 정부 정책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2050년 재생에너지 점유율은 16%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전기차 판매 증가에도 차량용 연료로 휘발유가 가장 많이 소비될 

  • 2021 미국 운송 부문, 승용, 소형 상용의 경량 자동차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54% 차지하나, 2050년에는 51% 낮아질 것으로 전망
  •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인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증가해 2050 전기차 점유율은 전체 경량 자동차 매출의 13% 차지할 전망
  • 그러나 여전히 내연기관 차량 판매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운송 부문에서 휘발유가 가장 많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

 

 

인구와 경제 성장이 에너지 자원의 효율성 증가를 상회함에 따라 2050년까지 에너지 소비량 증가

  • 산업별로 격차가 있을 수는 있지만 2022년에는 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
  • 주거용  상업용 건설 부문 성장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킬 것이지만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 증가로 인해 에너지 소비 증가량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
  • 난방용 에너지가 주거 및 상업 부문 최대 에너지 소비원이나 온난화와 많은 인구가 따듯한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천연가스 사용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운송 부문 에너지 소비, 연료별로는 경유는 2023, 상업용 항공유는 2027년에 소비량이 팬데믹 이전 수준이  것이나 휘발유는 차량의 연료 효율성 증가로 2050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할 것
  • 전기는 빠르게 점유율이 증가해 2050년까지 2%가 될 것이지만 여전히 휘발유, 증류 연료유, 항공유가 운송 부문  에너지원의 90% 이상을 차지할 전망

 

전기 수요는  1% 이하 증가,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빠르게 증가

  • 2021 전체 전력  태양광풍력은 각각 4%, 9% 점유했지만, 2050년에는 22%, 14% 크게 증가할 
  • 2024 말까지 풍력 발전에 대한 생산세액공제(PTC) 혜택을 받을  있기 때문에 2021년부터 2024 사이에는 풍력 발전이 크게 증가
  • 태양광 발전의 경우 2024년까지 30% 세액 공제, 2024년과 2025년에는 26%, 2026년부터 10% 축소가  예정으로, 2025 이후 상대적으로 발전량 증가가  전망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가스는 전체 발전원의 37%인데, 2050년에는 34% 소폭 감소하고석탄의 경우 23%에서 10% 가장 크게 감소할 

 

 

추가 발전 용량의 대부분은 태양광 발전

  • 재생에너지 발전은 2050년까지 추가되는 누적 발전 용량의 57% 이상을 차지, 특히 태양광 발전 용량은 추가되는 발전 용량의 47% 매우 높은 수준
  • 추가 누적 발전 용량의  40% 천연가스 발전 용량이며풍력  태양광 발전기의 간헐적 출력에 대한 균형을 유지할 

 

국내외 수요 증가로 오일가스 생산 증가

  • 오일과 가스 소비는 각각 15%, 12% 증가하고 생산은 17%, 24% 증가하며 수출 여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의 오일가스 생산은 2050년까지 높은 수준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천연가스 생산 증가량  많은 부분이 LNG 형태로 수출되고, 파이프를 통한 멕시코와 캐나다로의 수출 또한 증가할 
  • 현재 건설 중인 LNG 시설 추가로 인해 2025년까지 천연가스 수출은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며, 이후에도 수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천연가스 생산이 증가해 현재 미국  LNG 수출 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추가 LNG 수출 인프라 건설을 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

 

 

시사점

  • 재생에너지 산업이 큰 성장을 보임과 동시에 2050년에도 오일·가스가 여전히 미국 에너지 시장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므로 친환경 기조가 계속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미국의 오일·가스 산업은 건재할 것
  • 특히 LNG 수출 인프라 확장이 기대되므로 우리 기업들의 인프라 구축 기술친환경 LNG 수송선 등의 수출을 기대 가능

 

 

배당주 투자로만 경제적 자유는 불가능 | 주식 투자 전략 (Feat. 가치주 vs 성장주)

▶ 미국 대표 배당주 리츠(REITs) 총정리 및 투자 가이드 (특징, 분류, 재무제표) | 주식투자 전략

▶ 2023년부터 시행되는 미국 주식 양도세 개정안, 원천징수로 투자금 묶어 재투자 기회 손실

 

에너지인사이트-미국에너지시장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