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023년 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부동산 시장 영향

22대 총선이 끝났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어떤 영향이 미칠지 정리해 본다. 1. 202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주당·민주연합 175석, 국민의힘·미래 108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 민주당과 비례 정당인 민주연합이 이번 총선에서 총 175석을 획득했다. 민주당은 지역구에서만 161석을 확보하면서 목표로 내세웠던 과반(151석 이상) 의석을 달성했다. 여기에 조국혁신당(12석) 개혁신당(3석) 새로운미래(1석) 진보당(1석)까지 더하면 ‘반윤석열’을 기치로 한 범야권이 192석에 달한다. 야당이 압승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 추진에 브레이크가 예상된다. 2. 부동산 시장 영향 2.1. 윤석열 정부 부동산 관련 정책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관..

경제/부동산 2024. 4. 13. 00:45
부동산 투자를 둘러싼 현실과 전망, 생각과 전략

1. 부동산 불패는 계속 이어질까? 정권별 서울 수도권 아파트 가격 추이 "정권별로 아파트 가격 추이를 보면 등락을 하면서 결국 부동산은 오른다." 사실이다. 어찌어찌 올라서 대한민국은 부동산이 최고의 투자이자 안전한 상품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대한민국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출산율 문제가 없었던 시기와 현재는 현저히 다르다. 고도 성장기가 앞으로도 이어진다면 희망적일 텐데 아쉽게도 경제성장도 부진하고 심각한 저출산 문제는 예정된 수순이다. 박근혜 정부 때 규제완화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기 시작해 문재인 정부 때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진압하려다 잘못된 정책으로 부동산 양극화 시장을 빚었다. 더불어 코로나 발발로 제로금리와 유동성이 넘치게 되어 '영끌'해서라도 1주택자가 되려 거래량이 폭발하며 ..

경제/부동산 2024. 3. 26. 21:18
부동산 양극화, 매수자를 이해하고 좋은 부동산으로 옮겨야 하는 시기

1. 부동산 양극화 현상 예전처럼 모든 부동산이 우상향하는 시기는 끝났다. 정책적으로 다주택자나 법인 사업자들이 더 매수하기 어렵고 살 사람은 왠만하면 다 매수해서 1주택자가 되었다. 매수자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현재 부동산 시장은 상급지 갈아타려는 미미한 매수 매도 거래량을 보인다. 이에 따라 좋은 부동산은 빠르게 회복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급의 부동산들은 거래도 없고 하락세를 띤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양극화 현상을 보일 것이다. 근무지 접근성, 교통, 학군, 병원 등 모든 인프라를 갖춘 지역이 좋은 부동산이며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꽤 오래갈지 모른다. 반대로 말하면,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은 부진을 탈피하기 어렵다. 또한 오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제/부동산 2024. 3. 26. 01:27
초품아, 초등학생 수 급감에 따른 분별 필요 실거주 선호지역 매수해야 할 아파트 인사이트

실거주 선호지역에 대해 고찰하고 어떤 아파트를 매수하면 좋을지 알아본다. 당연한 소리지만 회사 다니기 좋고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이 실거주 선호지역이다. 애 키우기 좋은 아파트에서 대표적으로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를 마케팅하는데, 이를 좀 더 따져볼 필요가 있다. 초품아, 초등학생 수 급감에 따른 분별 필요 이제는 단순히 초품아라고해서 아파트 가치를 올려쳐서는 안 된다. 출산율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고 이미 초등학생 수가 급감하고 있다.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였는데 초등학교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말이다. 현재 초등학교가 있어도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곳이 많다. 심지어 전교생이 300명이 안 되는 곳도 수두룩하다. 반면 초등학생 수가 늘어나고 있는 지역도 있다. 위는 하남, 과천, 화성, 성남..

경제/부동산 2024. 3. 24. 22:57
재건축 재개발 서울도 쉽지 않다 인사이트

재건축 상황이 달라졌다. 분담금 된서리 재건축 … 대지지분 15평 이하땐 실익 없어 - 매일경제 술렁이는 재건축 아파트 똑똑하게 투자하려면 www.mk.co.kr 과거 재건축은 큰 시세차익을 가져왔으나, 현재는 공사비 갈등과 추가 분담금 문제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재건축 아파트 투자를 고려할 때는 용적률과 대지지분 등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재건축 시장에서는 분담금이 예상을 뛰어넘는 경우가 많아 고심이 필요하다. 재건축에 따른 주거 환경 개선과 시세차익은 여전히 기대할 수 있지만,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시공사와 조합 간의 공사비 갈등이 심각하며, 재건축 공사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재건축 단지 선택 시 용적률, 면적 구성, 주민들의 의지 ..

경제/부동산 2024. 3. 24. 22:03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