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 렌터카 회사 Hertz가 테슬라에 전기차 10만 대 주문한다는 소식에 테슬라가 주가가 13% 가까이 급등했다. 물론 테슬라에게 좋은 호재이나 몸집이 거대해진 테슬라가 하루 만에 13% 가까이 급등한다는 것은 의문이 남는다. 

 

‘천슬라’된 테슬라 주가 12%↑···S&P도 사상 최고치

 

‘천슬라’된 테슬라 주가 12%↑…S&P도 사상 최고치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렌터카 업체 허츠가 테슬라에 전기자동차 10만 대를 주문한다는 소식에 테슬라 주가가 폭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과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도

www.sedaily.com

그러나 결과론적으로 주가가 13% 급등한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알려진 호재 외에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본인뿐 아니라 많은 이들이 테슬라에 감마 스퀴즈(gamma squeeze) 현상이 발생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Money being physically squeezed (Image from 'What is a Gamma Squeeze', Yahoo Finanace)

감마스퀴즈란? 

옵션 시장에서 개인이 사들인 콜옵션을 매도하는 기관이 주가 상승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 기초자산을 사들이는 데 이때 주가가 올라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릴 때를 말한다. (감마는 기초자산 변화에 따라 델타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델타는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활용한다.)

 

콜옵션이란?

미리 지정한 가격에 기초 선물 게약을 매수할 권리. 매수자는 가격 보호 장치를 얻는 대신 반드시 프리미엄을 지급해야 하며, 매도자는 프리미엄을 수령하고 선물 계약을 인도해야 할 가능성(리스크)이(가) 있다. 

(참고: 콜옵션의 해설)

 

 

어제 테슬라가 급등한 이유가 감마스퀴즈 현상이 동력이 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자면,

허츠의 전기차 10만 대 계약과 기관의 목표주가 상향 등이 트리거가 되면서 테슬라에 강한 매수(콜옵션)가 형성되었고, 콜옵션을 매수자에게 파는 기관(매도자)은 주가 상승의 위험을 회피(헤지) 하기 위해 기초 자산의 주식(테슬라 주식)을 사들이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이다.

주당 $1000 달러가 넘은 테슬라가 $1200-1300 달러까지 갈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관은 더 큰 위험을 회피하기위해 더 많은 주식을 사들이면서 이미 덩치가 큰 테슬라지만 하루 만에 주가가 13% 급등 현상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감마스퀴즈로 인해 주가가 폭등한 게임스탑 사태가 있다.

공매도 대전에서 미국개미 '압승'…헤지펀드 무너뜨렸다

 

공매도 대전에서 미국개미 '압승'…헤지펀드 무너뜨렸다

공매도 대전에서 미국개미 '압승'…헤지펀드 무너뜨렸다, 게임스톱 주식 하루새 140% 이상 폭등

www.hankyung.com

게임스탑 주가 급등의 시작은 숏스퀴즈였다. 

 

숏스퀴즈란?

해당 기업의 주가가 하락할 것이란 예상을 하여 공매도를 했으나 오히려 주가가 오를 때 나타나는 현상.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옵션.

 

온라인 커뮤니티 Reddit의 WallStreetBets라는 토론방에서 기관 공매도 비율이 높은 주식을 발굴하고 집단 매수에 나서면서 하락에 베팅한 헤지펀드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면서 게임스탑 주가가 급등한 것이다. 그리고 레딧 투자자들은 콜옵션을 매수하기 시작하며 숏스퀴즈를 감마스퀴즈로 발전시켰다. 

 

시사점 및 생각

절대 불변의 진리처럼 기관에 놀아나던 개인은 게임스탑 사태처럼 기관을 압승하기도 한다. 그밖에도 AMC, Bed bath and Beyond 등 기관의 공매도 비율이 높은 주식을 역공해 헤지펀드를 반격했다. 테슬라에도 하락에 베팅한 기관은 꽤 있었지만 결국 두 손 두발 들었다.

 

기업 가치와는 무관하지만(?) 공매도, 숏스퀴즈, 감마스퀴즈 등 개인/기관 거래와 심리에 의해 주가는 예상 불가능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면 앞으로 주식을 매매하는 데 있어 어떻게 전략적으로 움직여야 할지 많은 생각이 들게 한다. 가만히 보면 이런 주식들은 B2B 보다는 B2C 기업이 많은 것 같고, 코로나19 이후 많은 개인투자자가 유입되면서 주식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함에도 안식이 있는 기업일수록 선동을 잘 당하는 것 같다. 이런 기업들은 기술적 분석을 통해 단기투자로 한번 접근해볼 만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읽어보면 좋은 글

 

부의 역효과(Wealth Side Effects) 시사점

본 포스팅은 Wealth (Side)Effects (JOSEPH WANG, 2021.9.27)를 번역 요약 및 시사점을 정리한 것으로 공부 용도로 작성하였습니다. 원 글은 링크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부의 효과가 실제로는 부작용을 낳을

likeyoung.tistory.com


Disclaimer 이 글은 개인 투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며 추천이 아니므로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서 종목의 선택 및 투자 시기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어떠한 이유에서도 독자들의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테크서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