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단기투자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는 자동거래매매 트레일링스탑 툴을 소개하고 어떻게 설정하는지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본 포스팅은 키움증권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타 증권사투자앱에서도 자동거래매매 기능은 다 존재하고 있으며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트레일링스탑은 수익을 극대화하고 잦은 매매를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필자는 잦은 매매(i.e 스캘핑, 단타)는 지양하며, 장기투자 전략에 따라 미래의 배당주가 될 성장주를 매수하는데 힘쓰고 있다. 그러나 단기 투자 전용으로 계좌를 따로 만들어 자본의 5% 미만으로 운용하고 있다.
트레일링스탑 이용한 단기투자 실적
아래는 '21년 1월부터 2월까지 본인의 단기 투자 실적이다.
총시드의 대부분은 장기투자용으로 웬만하면 건드리지 않고, 소액(시드의 최대 10% 미만)으로 회전율을 높여서 단기 투자를 했다. 수익은 다시 단기 투자로 회전시켜 복리효과를 누려 결과론적으로 기대 이상의 단기 수익을 냈다. 본인은 직장인이기 때문에 새벽 밤을 뜬눈으로 지낼 수 없다. 그럼에도 이렇게 수익을 낼 수 있었던 이유는 트레일링스탑을 활용해 수익을 극대화했기 때문이다.
수익 실현의 대부분은 트레일링스탑으로 자동 매도되어 확정된 것이다. 본인은 지표 활용이나 차트분석을 할 줄 모른다. HTS에는 주가와 거래량밖에 없다. 그러나 거시경제와 산업 트렌드는 매일 공부하고 파악하는데, 이와 관련된 기업들 중 변동성이 큰 것들을 골라 단기 투자하고 있다. (종목은 장기 투자하고 있는 기업과 무관한 게 많기에 모자이크처리)
트레일링스탑(Trailing Stop) 이란
트레일링스탑이란"현재가가 고점 대비 일정 수준 하락하면 해당 종목을 매도 주문을 실행하는 것.
감시 시작가를 기준으로 최소한의 이익을 보장하고자 하면 목표가를 설정하여 현재가가 목표가에 도달 후 일정 수준의 하락이 이루어지면 주문이 실행되고, 현재가(고가)가 목표가를 돌파한 후 하락하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고가 갱신에 따라 목표가도 갱신되어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 (키움증권 도움말 보기)
트레일링스탑의 장점은 고점이 갱신되기 때문에 자신이 설정한 하락 구간이 올 때까지 계속 보유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단점은 수익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손절을 각오해야 한다.
트레일링 스탑 설정 방법
위는 자동감시 주문에서 트레일링스탑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인의 보유한 종목을 선택하고, 목표가는 개인의 임의로 설정한다. 그리고 트레일링 감시 중 N% 하락 시 자동 매도하게끔 설정을 해주고 '시장가'로 전량 매도 주문하게끔 세팅한다. 그리고 조건 추가 후 감시 시작을 하면 끝이다.
트레일링 스탑 활용해 수익 난 사례
아래는 본인이 트레일링스탑을 활용해 수익 낸 케이스이다.
- 5% 상승 시 트레일링 감시 시작하게 설정하고, 감시 중 고점 대비 10%가 하락하면 시장가로 전량 자동 매도하게끔 설정 (미래를 예측할 수 없고, 새벽 내내 주가를 쳐다보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손절라인을 설정)
- '21년 1월 12일, $27 평단가로 매수 후 트레일링스탑을 세팅하고 감시 시작
- 매수가 대비 +5% 상승해 $28.3가 되면서 감시가 시작 (이때부터 고점 대비 10% 하락 시 전량 자동 매도 됨)
- 주가는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면서 고점 또한 갱신되며 고점 대비 10% 하락하기 전까지 계속 홀딩
- '21년 1월 27일, 당일 주가는 최고 23%까지 급등했고, 고점($46.3) 대비 10% 하락하면서 자동 매도되어 38.6% 수익 확정
물론 최고점 부근에서 매도했으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매일 새벽에 주가를 쳐다보고 있을 수만 없다. 그리고 분 단위로 주가를 쳐다보고 있으면 매도점을 잡기 어렵다. 몇 분 뒤에는 다시 오를 수도 있을 거란 근거 없는 기대에 팔지 못하고 넋 놓고 있다가 물리기 십상이다.
단기 투자의 기본역량은 이성적으로 본인만의 철저한 원칙에 따라 매도를 칼같이 하는 것이다. 설령, 수익이 마이너스라도 손절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트레일링 스탑을 활용하면 잠을 자는 와중에도 시스템에 의해 감정 개입 없이 자동 매도되기 때문에 주가를 쳐다볼 필요가 없다. 그리고 단기 급등에도 팔지 않고 홀딩 하기 때문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명심해야 할 것은 개인마다 트레일링 스탑 설정값에 따라 손절구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손절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트레일링 스탑을 이용한 단기 투자는 증시가 전반적으로 흐름이 좋을 때 효율이 좋았다. '21년 1월이 그랬다.
날마다 고점을 갱신하며 증시가 상승하고 FOMO가 만연할 때, 변동성이 큰 주식들은 하루에도 두 자릿수의 %가 오르기도 했다.
2월 후반이 되면서 미 국채 금리에 대한 해석이 저마다 다르고, 불확실성이 생기면서 미 증시는 전반적 조정이 왔다. 이 시기에 단기 투자를 했다면 손절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현재도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단기 투자를 테스팅하고 있다. 미래를 예측한다면 사기꾼이다. 최대한 위험 관리를 하면서 거시경제의 동향을 살피고,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분석할 뿐이다. 주식투자는 본래 어렵다. 쉽다고 느끼면 투자 경험이 부족한 사람이 분명하다.
요약
1. 장기 투자와 단기 투자용 계좌를 따로 관리하고 시드를 설정한다.
2. 전업 투자자가 아닌 직장인으로서 트레일링스탑을 이용해 상대적 안전하게(?) 단기 투자를 할 수 있다.
3. 감당할 수 있는 손절 라인을 설정하고, 단기적 급등하더라도 충동적인 매도를 하지 않기에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Disclaimer 이 글은 개인 투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며 추천이 아니므로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서 종목의 선택 및 투자 시기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어떠한 이유에서도 독자들의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테크서퍼
▶ 배당주 투자로만 경제적 자유는 불가능 | 주식 투자 전략 (Feat. 가치주 vs 성장주)
'경제 >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물 경제 지표로 보는 경제 흐름 - 비농업 고용 (ft. 주식투자 매매시점) (0) | 2022.06.07 |
---|---|
미국 대표 배당주 리츠(REITs) 총정리 및 투자 가이드 (특징, 분류, 재무제표) | 주식투자 전략 (4) | 2022.01.22 |
좋은 주식 종목 쉽게 찾는 방법 | 주식투자 전략 (0) | 2022.01.03 |
2023년부터 시행되는 미국 주식 양도세 개정안, 원천징수로 투자금 묶어 재투자 기회 손실 (15) | 2022.01.02 |
저평가 우량주 주식 찾기란 불가능, 저평가된 주식은 이유가 있다 | 주식투자전략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