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JulVR/btrJA5wYbXN/IVXdDbarbQcbs0pqeqQBv0/img.png)
사이버 보안 산업은 기업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수단이 아니라 자산을 보호하는 데 의의가 있어 성장성의 한계가 있다. 특히 일반 기업들은 영업이나 생산 등에 투자하는 것만큼 보안에는 적극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가 보급되고 초연결 시대가 되면서 앞으로 사이버 보안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다. 그리고 현 시대에서 사이버 보안 산업은 방위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과거처럼 무기로 전쟁하는 게 아닌 금융, 기술로 전쟁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국가 안보차원에서도 보안 산업이 중요하다. 클라우드 보안 관련 엔드포인트 보안 세계 1위 기업인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 $CRWD)의 분석하고 전망을 알아본다. 회사 개요 2011년 설립된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엔드포인트(단말기) 보안 시장 세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gb8q/btrI9l7xRCP/I5Af8CYGdY47PROa6i46wK/img.png)
인터넷에 연결하는 모든 것을 안전하고 비밀을 유지하면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클라우드플레어($NET)의 전망과 상품을 분석해본다. 회사 개요 클라우드플레어는 2019년 나스닥에 상장한 클라우드 기반 SaaS 사업모델을 가진 기업이다.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CDN, DNS 및 WAF, DDoS Protection 등의 솔루션을 전 세계에 제공하고 있다. 참고글▶ 클라우드 정의, 종류, 글로벌 산업 동향, 국가별 기술력 비교 방문자와 클라우드플레어 사용자의 호스팅 공급자 사이에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인터넷 보안, 분산 도메인 이름 서버(DNS)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미국 기업으로 웹 사이트에 대한 리버스 프록시 역할을 수행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yl0h/btrI3ytUyM3/jo6t2IJFE3J7gkij5VY8i0/img.png)
갑작스럽게 티커 SARK etf가 상장폐지한다고 통보메세지를 받았다. 실제로 한번도 겪어보지 않았던 터라 당황했다. 터무니없게 당일에 통보하고 당 거래일에 SARK etf가 본인 계좌에서 사라져 거래를 할 수 없었다. $SARK는 캐시우드가 운용하는 $ARKK의 반대에 베팅한 것으로 기술주의 하락이 예상될 때 투자하는 상품이다. 본인은 단기투자용, 장기투자용 계좌를 따로 운용하는데, $SARK를 단기 투자용으로 매매하고 있었다. 참고글▶ 수익 극대화를 위한 단기 투자 방법 | 주식투자 전략 (feat. 트레일링스탑) ‘돈나무 누나’ 반대로 갑니다… SARK가 나타났다 돈나무 누나 반대로 갑니다 SARK가 나타났다 WEEKLY BIZ 캐시우드 추락에 베팅 ETF 등장 정작 캐시우드 본인은 긍정평가 이것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DdgLc/btrJaW7taao/fnTKkcMnwjoZ7Ja5mJQ011/img.png)
최근 미국채의 장단기금리역전이 되면서 조만간 경기 불황이 닥칠 것으로 예상해 긴장하고 있다. 국채와 주식 상관관계 채권과는 거리가 먼 일반 개인투자자가 국내주식, 미국주식 막론하고 미국 국채 금리 수익률을 모르고 주식을 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채권과 주식시장의 규모는 60:40 정도로 채권은 주식시장 보다 훨씬 큰 시장이다. 채권은 fixed income 자산으로 대표적 안정적 자산이기때문에 경기 흐름이 불확실해지고 하락 시기가 되면 돈이 더욱 몰리게 된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은 규모가 더 작아지며 채권 등 안전자산의 강세로 이어진다. 특히 미국은 다른 국가들 사이에서도 가장 큰 시장이다. 많은 유동성이 움직이면 특정 자산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떄문에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obNg/btrITnxFsbZ/91rUOar7D08WPXV5mAdzzK/img.png)
'22년 8월 1일, 애플이 4종의 회사채를 발행해 55억 달러를 빌렸다.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잘 나가는 애플이 빚을 빌린 이유는 무엇일까? 부자들의 빚 흔히 부자와 가난한 자가 돈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 중 가장 대두되는 것이 빚(채무)이다. 부자가 되려면 미래를 내다봐야 하는데, 돈을 빌리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미래에 돈의 가치가 비싸질 것으로 예상하기에 현재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돈을 빌리는 것이다. 무디스, 애플 ‘Aaa’ 최고 신용등급 상향...한국보다 2단계 위 애플 신용 등급 ‘Aa1’에서 ‘Aaa’로 풍부한 유동성과 견고한 실적 이유▲아이폰 제조사 애플의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향후 www.etoday.co.kr 무디스는 이날 애플의 신용 등급을 ‘Aa1’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