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화 가치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알아본 보고서가 있어 인사이트 공유차원에서 포스팅한다. 본문은 삼일회계법인에서 배포한 '엔화 약세에 따른 한국경제로의 영향 점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엔화 약세 이유 미국과 대비되는 통화정책이 가장 큰 이유다. 미국은 꾸준히 기준금리를 올려 현재 5.25%인 반면 일본은 여전히 완화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엔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급격한 엔화 가치 하락에도 불구하고 일본 중앙은행은 환율은 펀더멘털을 반영해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며 사실상 엔저 현상을 용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 증시 상황 엔화 흐름과는 다른 양상으로 일본 증시는 상승세인데, 이유는 유동성에 의한 효과와 경제 펀..

한국정부가 사상 최초로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한다 하여 알아본 내용을 포스팅 남긴다. 더불어 엔캐리트레이드와 관련해 인사이트를 알아본다. 사무라이채권이란 사무라이본드(채권)란, 일본 채권시장에서 비거주자인 외국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으로 국제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국제채권. '사무라이'라는 명칭은 단지 일본을 대표한다고 여겨 명명한 것일 뿐이다. 원리금의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엔화표시 채권 발행하는 이유 최근 각국 채권시장의 조달 금리가 급격히 오른 상황에서 초저금리를 유지하는 일본 시장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앞서서 많은 기업들이 사무라이본드 발행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지난 3일 한국 정부가 사상최..

미국 주식이 한동안 우상향하다 피벗하여 하락세로 돌아가는 요인을 거시 경제 관점에서 정리해 본다. 미국 내 주식, 채권 시장뿐 아니라 다른 국가의 경제 정책이 변화하면서 전체적으로 흐름이 바뀌었는데, 결국 돈의 흐름이 어디로 모이고 있는지를 보는 게 관건이다. 미국 장기 국채 가격 하락 미국 국채 가격은 왜 하락하고 있는 걸까? 상식선에서 이유를 찾는다면 아래 3가지가 생각난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강해서 미연준이 한번더 기준 금리 인상할 것이라 는 예측 미 재무부가 국채 대규모 발행할 것 이라는 예측 신용평가사 피치에서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인한 영향 하지만 3가지 요인 모두 현재 미국 장기 국채 가격이 하락하는데 이유로는 타당하지 않다. 먼저 1번이 아닌 이유는 미 연준은 기준 금리 동결을 시사하고..

미국 장기물 국채와 모기지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데, 이를 많이 보유했다가 은행이 부도가 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SVB 사태를 요약 정리하고, 알아둬야 할 인사이트 그리고 시사점을 알아보자. 1. SVB 사태 정리 스타트업, VC, 테크 기업 고객을 대부분으로 둔 실리콘밸리은행(SVB)은 막대한 현금을 시중의 미은행들보다 월등한 규모로 장기채권을 구매해 보유하고 있었다. 통상적 미 국채 장기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자산 문제는 아주 빠른 속도로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하는 데 있다. 인플레를 때려잡기 위해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상승하면서 장기채 가격이 급락(=국채 금리 급등)한 것이다. 사실 장기국채 및 모기지채권 만기(Duration)가 도래할 때까지 이자를 받으면서 보유하고 있으면 큰 문제가 안..

사실 일본은 아직 금리인상을 하지 않았고 일본 중앙은행이 10년물 국채금리 범위를 ±0.5%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에따라 엔화 가치는 상승하고 달러화 가치는 하락했으며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그런데 시장은 사실상 금리인상 초입이라 판단하고있다. BOJ가 국채금리 밴드를 상향 조정한 이유와 시사점을 정리해본다. 일본 중앙은행 국채 10년물 금리 변동 폭 확대 이유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일본 또한 예외는 아니었으며 엔 약세와 수입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며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다시 금리 인하로 돌아서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 판단한 일본은 장기간 초저금리 정책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전 토대마련한 것이라 시장은 판단했다. 일본은 6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