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정부가 사상 최초로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한다 하여 알아본 내용을 포스팅 남긴다. 더불어 엔캐리트레이드와 관련해 인사이트를 알아본다.
사무라이채권이란
사무라이본드(채권)란, 일본 채권시장에서 비거주자인 외국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으로 국제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국제채권. '사무라이'라는 명칭은 단지 일본을 대표한다고 여겨 명명한 것일 뿐이다. 원리금의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엔화표시 채권 발행하는 이유
최근 각국 채권시장의 조달 금리가 급격히 오른 상황에서 초저금리를 유지하는 일본 시장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앞서서 많은 기업들이 사무라이본드 발행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지난 3일 한국 정부가 사상최초로 3년 만기 사무라이채권을 발행했다. 한국정부의 사무라이채권 발행은, 윤석열정부 취임후 한일 금융관계 개선을 보여주는 의미로 여겨진다.
지난 4월, 버크셔해서웨이도 사무라이채권을 발행한 바 있는데, 일본 채권시장에서 엔화표시채권(사무라이채권) 판매가 2018년 이후 5년 만에 최대를 기록 중이라고 한다.
인사이트
엔화채권이기에 상환 및 지급을 엔화로 해야한다는 환헤지 리스크가 있다. 만약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해 빌린 엔화를 원화 또는 다른 국가 화폐로 바꿔 투자한 상태에서 엔캐리트레이드의 청산 위험으로 엔화가 강세로 돌변한다면 엄청난 리스크를 지게 된다. 반면 엔화를 그대로 일본시장에 투자한 것이라면 적어도 환위험은 없다고 볼수는 있다.
엔캐리트레이드 관련 지난글 참고:
미국 주식 하락 요인 분석, 미국 장기 국채 하락과 일본 긴축 영향성, 엔캐리트레이드
미국 주식 하락 요인 분석, 미국 장기 국채 하락과 일본 긴축 영향성, 엔캐리트레이드
미국 주식이 한동안 우상향하다 피벗하여 하락세로 돌아가는 요인을 거시 경제 관점에서 정리해 본다. 미국 내 주식, 채권 시장뿐 아니라 다른 국가의 경제 정책이 변화하면서 전체적으로 흐름
likeyoung.tistory.com
현재 일본은 급증하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일본 국채 금리를 누르기 위해 양적완화를 오랫동안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지지율이나 어떠한 변수가 작용해 일본이 더 긴축방향으로 간다면 엔화 강세를 연출할 가능성도 있고, 이에 따라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위기가 발발할 수도 있다. 엔캐리트레이드로 전 세계에 투자된 규모를 고려하면 거시경제를 뒤흔들 사이즈이기 때문에 주시할 필요가 있다.
'경제 > 거시(Mac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정상회담 요약 결론 시사점 (0) | 2023.11.21 |
---|---|
엔화 약세로 인한 한국 경제 영향 (0) | 2023.09.22 |
미국 주식 하락 요인 분석, 미국 장기 국채 하락과 일본 긴축 영향성, 엔캐리트레이드 (1) | 2023.08.09 |
SVB 사태 정리 요약, 인사이트, 시사점 (0) | 2023.03.15 |
일본 금리인상 시사점과 거시경제 증시 영향 (1)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