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영국발 금융위기, 영국 정부 감세안, 영란은행 시장 개입 배경, 주식 전망

1. 배경 1.1 영국 새정부 감세안 지난 23일 경제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영국정부는 '소득세 및 법인세 인상 철회' 등을 통해 2027년까지 450억 파운드(약 68조원)를 감세한다는 내용이 담긴 감세안을 발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상황에서 영국의 감세정책은 통화정책(긴축)과 상반된다고 비판했다. 감세안 발표 뒤 영국 금융시장은 요동쳤고, 영국의 30년물 국채 금리는 연 5% 이상으로 치솟으며 1998년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을 부르고 파운드화, 유로화는 약세로 달러는 더욱 강세를 만들었다. 시장 뒤흔든 英 감세안, IMF도 비판…"현시점 비추천, 불평등 확대" - 머니투데이 리즈 트러스 영국 내각의 대규모 감세 정책에 대해 국제통화기금(..

경제/거시(Macro) 2022. 9. 30. 01:39
강달러 이유, 원달러 환율 전망, 미국 증시 투자 이유

원달러 환율이 1380원이 돌파하면서 정점이 어딜지 알 수 없을 만큼 강달러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강달러인 이유와 달러 환율이 어디까지 오를지 살펴본다. 강달러 이유 1. 통화긴축 1.1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미국 중앙은행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 글로벌 거시경제 흐름이 긴축으로 흐름에 따라 대표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로 수요가 몰리면서 강달러를 만들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발발 후 화폐를 대거 찍어내 경제를 지탱하면서 부작용인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유발되면서 미국 중앙은행은 빠른 기조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또한, 미연준 파월 의장이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은 한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유지할 것이라 발언해 증시, 채권, 부동산 등에서 달러로 자산흐름이 바뀌고 있어 나날이 고점을 갱신하며 ..

경제/거시(Macro) 2022. 9. 9. 01:10
역레포 급등, 시중 유동성이 넘쳐나는 이유 (ft. 재무부, 연준, 바이든 인프라법안, 조맨친)

시중에 넘쳐나는 유동성을 흡출하기 위해 미연준은 이례적 상황으로 역레포를 통해 현금을 흡수하고 있다고 했는데, 시중에 유동성이 넘쳐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레포 역레포 시장 중요성, 이유, 의미, 유동성 (RP, 역RP, Repo, Reverse Repo) 레포 역레포 시장 레포(RP=Repo=Repurchase Agreement)란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단기증권을 담보로 맡기고(팔고) 미래에 이자를 더해 다시 단기증권을 가져오는(매수) 매수인과 매도인간의 합의이다. 이 likeyoung.tistory.com 시중 유동성이 넘쳐나는 이유 미연준 파월이 양적완화를 했기때문이라고만 하기엔 설득력이 부족하다. 1. 양적완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발하고 경제 위기 극복을 명분으로 미국 재무부는 국채를 발행하고 미..

경제/거시(Macro) 2022. 8. 25. 01:14
레포 역레포 시장 중요성, 이유, 의미, 유동성 (RP, 역RP, Repo, Reverse Repo)

레포 역레포 시장 레포(RP=Repo=Repurchase Agreement)란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단기증권을 담보로 맡기고(팔고) 미래에 이자를 더해 다시 단기증권을 가져오는(매수) 매수인과 매도인간의 합의이다. 이때 이자를 레포금리라고 말한다. 간단히 말해 단기 시장 유동성을 위해 현금을 빌려오기 위한 도구이다. 참고 글: 레포 금리 (Repo), 과거사례 역레포(역RP=Reverse Repo=Reverse Repurchase Agreement)는 레포의 주체가 반대된 것일 뿐인데 조금 헷갈린다. 시장의 입장에서 시중은행이 구매자, 중앙은행(incl. 미연준)이 판매자로 간주하는데 시중은행이 미연준에게 현금을 빌려오는 레포시장이 일반적인 반면, 미연준이 시중은행으로부터 현금을 빌려오는 시장을 역레포라 ..

경제/거시(Macro) 2022. 8. 24. 01:08
국채와 주식 상관관계, 장단기 금리 역전 의미 (ft. 2년물, 10년물 금리)

최근 미국채의 장단기금리역전이 되면서 조만간 경기 불황이 닥칠 것으로 예상해 긴장하고 있다. 국채와 주식 상관관계 채권과는 거리가 먼 일반 개인투자자가 국내주식, 미국주식 막론하고 미국 국채 금리 수익률을 모르고 주식을 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채권과 주식시장의 규모는 60:40 정도로 채권은 주식시장 보다 훨씬 큰 시장이다. 채권은 fixed income 자산으로 대표적 안정적 자산이기때문에 경기 흐름이 불확실해지고 하락 시기가 되면 돈이 더욱 몰리게 된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은 규모가 더 작아지며 채권 등 안전자산의 강세로 이어진다. 특히 미국은 다른 국가들 사이에서도 가장 큰 시장이다. 많은 유동성이 움직이면 특정 자산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떄문에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경제/거시(Macro) 2022. 8. 7. 21:45
이전 1 2 3 4 5 6 7 8 ··· 17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