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계의 공장 역할인 중국이 크게 휘청이고 있다. 중국의 경제가 침체기를 향한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언제까지 이어질지 등 흩어진 정보를 정리해 둔다. 또한 한국의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중국인만큼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등 인사이트도 알아본다.
요약: 중국 경기 침체 10년은 더 간다, 박문환 스페셜리포트
- 중국 증시는 하락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다수의 분석은 중국 부동산 가치의 하락을 지목하고 있다.
- 중국 내 70개 주요 도시에서 기존 주택 가격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모두 하락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 중국 증시의 하락의 근본적인 이유는 미국의 디리스킹 정책이 중국 경기 침체의 주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 중국의 부동산 가치 하락이 중국 경제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 중국이 경제 부양책을 펼치더라도 현재 상황에서는 침체를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며, 중국의 경제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경제 영향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상 중국의 무역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 또한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으로 올해는 나아질 경향이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에는 자금이 미국으로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중국이 경기 부양책을 쓰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올해는 미국이 금리 인상 사이클이 멈추고 인하 시그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경기 부양책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이번주 중국 정부는 증시 부양을 위해 2조 위안을 투입하고 지준율을 50bp 내리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그렇다 하더라도 주원인은 미국의 디리스킹 정책이기 때문에 중국의 경기가 예전처럼 되돌아가기엔 큰 어려움이 있다. 일본이 30년 간 디플레이션을 맞이한 것처럼 중국은 이제 시작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한국 입장에서 경제의 구조를 뜯어고칠 약간의 시간을 벌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경제 > 거시(Mac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증시 신고가, 유럽 주식 잘나가는 이유 (feat. 그래놀라즈, 판타스틱5 F5) (0) | 2024.06.13 |
---|---|
미 재무부 돈풀기, 바이백 이유, 미 연준 QT축소, 파월과 옐런의 재정전략 (0) | 2024.05.28 |
홍콩H지수 ELS 문제 요약 금융지식 필요성 (1) | 2023.11.28 |
미중 정상회담 요약 결론 시사점 (0) | 2023.11.21 |
엔화 약세로 인한 한국 경제 영향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