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마존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해 헬스케어 분야 대규모 투자 중이다. 아마존뿐 아니라 헬스케어 분야와 연관이 없던 기업들이 속속 들어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같은 빅테크기업에서 텔라닥같은 신생기업까지 원격 의료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성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http://ny.koreatimes.com/article/20220722/1425219
아마존 헬스케어사업 본격화...39억 달러에 1차 진료기관인 원메디컬 인수 - 미주 한국일보
시애틀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마존이 헬스케어 사업을 본격화하고 나섰다.1차 진료기관인 원메디컬을 39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업계에선 아마존은 약 4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
ny.koreatimes.com
아마존은 21일 원메디컬이란 이름으로 1차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1라이프헬스케어를 부채를 포함해 39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헬스케어로 사업 확장을 최우선시하고 있는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취임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대규모 인수ㆍ합병(M&A)이다.
2020년 기준 미국 의료 시장은 약 4조 1240억 달러로, 미국 GDP의 약 5분의 1에 이르는 규모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원격 의료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비대면 의료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 중이다.
관련글▶ 좋은 주식 종목 쉽게 찾는 방법 | 주식투자 전략
아마존의 헬스케어 사업은 이전부터
아마존은 이전부터 헬스케어 사업을 운영해왔으며 확장 중에 있다.
아마존은 지난 '17년 의약품 비즈니스를 위한 팀을 구성했고, '18년에는 온라인 약국 필팩(Pill Pack)을 $753M에 인수했다. 그리고 온라인 약국인 Amazon pharmacy를 상표 출원하고 본격 의료사업에 진출함을 시사했다. 당시 아마존은 임직원에게 의료복지 프로그램인 '아마존 케어'를 지원했는데, 이는 모바일 앱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로 의료 상담 및 화성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마존은 워싱턴주 자사 직원들에게만 제공했던 아마존케어 서비스를 '21년 3월 17일부터 워싱턴 주의 다른 기업으로 확대하고, 올여름에는 미국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아마존케어는 크게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원격진료 서비스로 모바일 'Amazon Car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르게 상담 및 화상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전문 인력이 환자의 집으로 내진하거나 처방약을 배송하는 것이다.
![아마존케어](https://blog.kakaocdn.net/dn/VbDr7/btrIi5Tv3BR/EN1ARNQpflgpSYwI4gdhhk/img.jpg)
원격진료의 핵심은 의료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 직원 의료복지 보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개인들도 비용 절감뿐 아니라 간편하게 진료받을 수 있게 된다. 기업이 보험사에 직원 수에 비례하여 고정 비용을 지출했다면, 아마존케어는 사용한 만큼 과금되는 구조로 서비스되기 때문에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아마존은 온라인 (서점) 리테일 비즈니스로 시작해 IT로 확장한 회사이며, 무엇보다 클라우드를 선구적으로 고안했고 현시대 디지털전환 트렌드가 되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사업 또한 시작 초기 단계에는 아마존 내에서만 사용되다 다른 기업 및 해외로 확장되었다. 사실 아마존은 고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아마존웹서비스를 고안하고 실행하다 확장했다. 아마존 케어 역시 자사 직원 의료복지 비용을 줄이는 대서 시작하고 사업을 시작한 케이스이다.
![아마존-인공지능스피커-알렉사](https://blog.kakaocdn.net/dn/0YWoW/btrIjJ99FPF/H3Sl6fLyM9eniNL1Szf3VK/img.png)
또 한가지 아마존에서 주의 깊게 보는 기술 중 하나는 인공지능 스피커이다. 이는 미래에 디지털전환 이후 초연결 시대에 모든 것을 연결해 주는 도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미국 내 아마존 인공지능 스피커(알렉사)의 점유율은 70%대로 스마트홈, 커넥티드카,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아마존과 연결하고 있다.
보이스 기술(Voice Technology)은 디지털 헬스케어에도 사용될 것이다. 가령 초음파로 심장 질환을 체크하는 등 원격 진료를 보다 빠르게 가능하게 해줄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원메디컬 인수 영향 및 전망
아마존이 인수한 원메디컬은 미국 전역에 180여개 의료시설에서 1차 진료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8,000개 이상의 기업의 직원들에게 대면 진료뿐만 아니라 원격 진료도 제공하고 있다. AWS가 밟아왔던 것처럼 아마존 내 고정지출을 줄이기 위한 아마존케어 서비스에서 이번 원메디컬 인수로 8500여개에 이르는 기업 고객을 확보하게 되었다.
시장조사업체 헬스케어 다이브는 아마존이 아마존 케어의 비대면 진료를 전국으로 확대했지만 대면 진료 확장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번 원메디컬 인수를 통해 아마존은 고객과의 대면 접점을 크게 늘릴 수 있다.
결론: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이 성장 초입에 왔으며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참고 자료 및 출처
Amazon Care to launch across U.S. this summer... (amazon, 2021.3.17)
Amazon.care (amazon.care official webpage)
아마존, 온라인 처방약 사업 본격화…‘아마존 약국’ 등록 신청 (이코노믹리뷰, 2020.1.22)
월마트, 원격 의료업체 '미엠디' 인수..아마존케어에 도전장 내미나 (이데일리, 2021.5.7)
美 원격의료 시장 커진다…"대장株 텔라독 올 매출 80% 증가" (한국경제, 2021.4.4)
Alexa in Healthcare: 17 Real Use Cases You Should Know About (digitalauthority, 2020.3.6)
왜 아마존은 5조원에 의료기업을 인수했을까 (바이라인네트워크, 2022.7.27)
Disclaimer 차세대 기술에 관심이 많지만 뇌피셜이 많아 죄송합니다. 이 글은 개인 투자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며 추천 자료가 아니므로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서 종목의 선택 및 투자 시기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어떠한 이유에서도 독자들의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테크서퍼
![아마존-헬스케어-원메디컬-아마존케어](https://blog.kakaocdn.net/dn/csRSbI/btrIiDJqKxO/r2wMWFa4p7NWzfr6zlfnSk/img.png)
'경제 >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 4nm 공정이 필요한 삼성 (ft. 삼성전자 주가, 갤럭시 Z폴드4 Z플립4) (0) | 2022.08.14 |
---|---|
애플이 55억 달러를 빌린 이유, 애플 잉여현금흐름, 현금사용법 (ft. 절세) (0) | 2022.08.04 |
마이크로소프트와 오라클의 파트너십 체결, 영향은? (0) | 2022.07.25 |
애플 맥북에어 M2 칩 발표, M1 대비 향상폭은? (0) | 2022.06.08 |
테크 기업 경쟁,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까지 생태계 구축하는 이유 (ft.티타임즈)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