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적 관점에서 이탈리아 정치문제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걸까?

 

https://www.etoday.co.kr/news/view/2154763

 

‘풍전등화’ 이탈리아, 경제도 어려운데 연정 붕괴 위기

지난주 드라기 총리 사임 의사에 정국 요동오성운동, 드라기 신임안 관련 민생지원법 표결 보이콧우파 정당들 조기 총선 준비 태세‘유럽 결의의 상징’

www.etoday.co.kr

최대 정당인 오성운동(M5S)과 중도우파 진영의 내각 불신임으로 드라기 총리가 사임 표명했다.

마리오 드라기는 누구?

경제학 교수에서 이탈리아 재무부국장, 골드만삭스 부회장 겸 전무이사,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 그리고 ECB(유럽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특히 지난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2011년에 ECB 총재로 임명되면서 유로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뭐든지 하겠다"며 일시적인 마이너스 금리까지 도입하며 유로존 경제 회복에 큰 이바지한 뒤 퇴임 후 이탈리아 정계로 입문해 총리로 취임했다.

 

연정붕괴

드라기는 명성에 힘입어 포퓰리스트 오성운동, 좌파 민주당(PD), 중도이탈리아 등을 아우르는 좌우 통합 내각을 꾸려 운영해왔다. 그러나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당들이 각 지지층에 대한 호소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고, 그간 최대 정당이자 친러, 반이민, 반EU 성향을 가진 오성운동은 드라기 총리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및 개혁정책, 에너지 관련 민생지원 법안 규모(260억 유로) 등에 이견으로 대립해왔다. (오성운동은 260억 유로가 적다고 대립)

 

7월 20일, 상원의 내각 신임안 표결에서 3개 정당의 불참으로 드라기 총리가 최종 퇴진을 결정했고, 사실상 연정이 붕괴되는 사태에 이르렀다.

 

영향 및 전망, 시사점

드라기 정권이 추진 중이던 개혁조치들이 지연되면서 EU의 재정지원이 축소되고 경제난 심화에 따른 부채위기 촉발 위험이 심화되었다. 그리고 ECB가 11년만에 기준금리 인상한 가운데 이 같은 정국 혼란은 러시아 가스 중단 위협 등의 요인과 가중되어 주변국 시장 불안을 가중하면서 국채시장을 불안하게 작용했다. 또한 이탈리아 개혁 이행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EU 재정지원 및 ECB 국채매입프로그램 수혜 여부가 불투명해지며 유로존 정책대응에 난관이 빚어졌다.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들의 정치적 불안이 심화됨에 따라 에너지 위기 및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등에 대한 유럽의 통합적 대응력이 약화될 우려가 커졌다.

 

관련글▶ 유럽발 경기침체오나, ECB기준금리 인상 이유와 독일, 이탈리아 상황 (ft. 유로존 분절위기)

 

출처 및 참고:

마리오 드라기 (나무위키)

끝내 사임한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서방 러시아 제재 균열 위기 (2022.7.22, 프레시안)

이탈리아 드라기 총리 사임에 따른 영향 및 평가 (2022.7.22, 국제금융센터)

220722-이탈리아+드라기+총리+사임에+따른+영향+및+평가.pdf
0.90MB

 

이탈리아 정치 문제가 우리에게 미치는 경제적 영향(드라기 사임, 연정붕괴)